삼중음성 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은 공격적이고 이질적인 유방암의 아형입니다.
이번 FAQ에서는 발병률, 진행 중인 임상시험, 혁신적인 치료법 및 환자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봅니다.
1. 삼중음성 유방암이 다른 유방암 아형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삼중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및 HER2 발현이 없어 표적 호르몬 요법이나 HER2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법의 효능이 제한적입니다. 기저층의 세포와 유사한 아형이 우세(약 70%)하며, 이는 공격적인 종양 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2. 삼중음성 유방암의 발병률 및 생존율에서 나타나는 전 세계적 동향은 어떠한가요?
삼중음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발병률의 10-15%를 차지합니다. 2022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30만 건의 삼중음성 유방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였고, 이어 유럽, 북미, 기타 지역에서 발병률이 나타났습니다.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12% 미만이며 초기 단계에서 적절히 치료된 경우에도 생존율은 50-60%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추세는 치료 접근성에 있어서 지역적 격차를 해소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의 도입 필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3. 현재 삼중음성 유방암의 표준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TNBC 치료에는 주로 화학 요법이 포함됩니다. 1차 치료에는 PD-L1 양성 종양에 사용되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인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과 BRCA1/2 돌연변이에 사용되는 PARP 억제제인 올라파립(Olaparib) 및 탈라조파립(talazoparib)이 포함됩니다. 재발한 경우에는 사시투주맙 고비테칸(sacituzumab govitecan)이 사용됩니다.
4. 삼중음성 유방암 임상시험의 전 세계적 동향은 어떠하며, 모집 속도는 지역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요?
2019년 이후 삼중음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전 세계적으로 1,500건 이상 시작되었으며, 이는 전체 유방암 임상시험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북미에서 가장 많은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유럽, 기타 지역이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에서는 중국과 호주가, 북미에서는 미국이 활발하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스페인과 프랑스가 주요 기여국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이스라엘과 브라질이 임상시험에 일정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환자 모집 측면에서는 아시아 태평양이 미국에 비해 평균 모집 기간이 짧고, 모집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의 혁신을 주도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마커로는 PARP 억제제 사용을 유도하는 BRCA1/2 돌연변이와 면역 관문 억제제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PD-L1 발현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FGFR 증폭, VEGF 과발현, PI3K/AKT/mTOR 경로 변경 등이 유망한 표적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마커는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치료 접근법을 가능하게 하며,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